분류 전체보기

문자열을 자르는 split() 사용법을 물어보는 문제이다. import sys S = sys.stdin.readline().split() print(len(S)) 없음. ✭ 참고 split()은 white space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른다는 의미한다. 여기서 white spce란, 공백(space), 엔터(\n), 탭(Tab)을 의미한다. 즉, (split() => 공백, 엔터, 탭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른다) ✭ 추신 이 문제는 푸는데에 한 10초도 안 걸렸던 것 같다. 물론 이 문제를 무시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실제 알고리즘을 풀어보면서 split()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잘라서 따로 저장하는 등 여러 케이스로 정말 많이 쓰였고, 정말 중요한 기능인 것을 잘 알고 있다. 이 문제를..
문자열과 관련된 여러가지 함수들을 알아보는 문제이다. import sys S = sys.stdin.readline().rstrip().lower() S_set = list(set(S)) ans = [] for i in S_set: count = S.count(i) ans.append(count) if ans.count(max(ans)) >= 2: print("?") else: print(S_set[(ans.index(max(ans)))].upper()) for문 사용 미숙 문자열관련 함수들을 많이 알지 못했음 for문을 돌릴때 i가 꼭 숫자가 아닌 문자열 리스트로 루프를 돌릴 수 있다는 것을 이 문제를 풀면서 알게 되었다. 문자열관 관련된 set(), c..
기본적인 스택 자료구조와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고있는지 테스트해보는 문제인 것 같다. import sys def stack_push(stack, X): stack.append(X) def stack_pop(stack): if len(stack) == 0: return -1 elif len(stack) != 0: last = stack.pop() return last def is_empty(stack): if len(stack) == 0: return 1 else: return 0 def check_size(stack): size = len(stack) return size def is_top(stack): if len(stack) == 0: return -1 else: top = ..
문제를 읽어보니 반복문과 간단한 수학적 연산들을 쓰면 풀릴 것 같다.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cnt = 0 check = n sum_int = 0 new_int = 0 while True: cnt += 1 sum_int = (n // 10) + (n % 10) new_int = (n % 10)*10 + sum_int % 10 n = new_int if n == check: break print(cnt) 처음에 입력받은 n이 new_int로 갱신되는데, n이 다시 초기의 n이 될때는 어떻게 루프를 빠져나올까? 처음 입력받은 초기의 n값을 check라는 변수에 저장해놓으면 이 값은 갱신되지 않으니까 if문을 사용해서 루프를 빠..
Developer KTU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8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