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16진수를 다룰 수 있는가 묻는 문제이다. 파이썬에서는 타입을 다루지 않는데, 어떻게 16진수를 다루는지 헤맸다. 16진수 계싼하는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할까 했지만, 더 빠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파이썬 내장함수 int()에 16진수로 변환해주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론 : 개발 공부를 본격적으로 처음 시작해서 정신이 없었다. 알고리즘 공부를 얼마전에 다시 시작하긴 했지만, 블로그 포스팅은 정말 오랜만에 하는 것 같다..ㅎㅎ (꾸준히 해야하는데 ㅋㅋ) 아무튼 오랜만에 다시 알고리즘 포스팅 시작! 파이썬의 숫자연산자를 잘 활용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문제이다. 문제만 읽고 쉽네 ㅇㅇ 하고 풀었는데 (로직은 맞음) 제출해보니 런타임에러... 파이썬 '/' 연산은 소수점까지 계산한다는 점은 알고있어서 마지막에 '/' 연산 결과에 int()로 타입캐스팅 해주었는데,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 (Overflow Error) 도대체 왜 런타임에러인지 모르고 한참 헤매다가 문제의 범위를 다시보니 두 변수의 범위가 1에서 10^1000 이었다..ㄷㄷ 제시된 범위에 근접한 ..
A + B의 결괏값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문제이다. import sys while True: try: A, B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print(A+B) except: break 따로 종료조건이 정해져있지 않아, 결과값은 제대로 나와도 체점결과가 EOF에러가 나옴. EOF (End Of File)에 대한 개념을 숙지했고, 특별히 종료조건이 없는 반복문을 사용하는 코드는 Try-Except 문법을 사용해 해결한다. ※ EOF (End Of File)이란? 말 그대로 파일의 끝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는 종료조건이 없으므로 계속되는 입력에 EOF Error가 뜨면 except 즉, 예외처리문을 넣어주어 반복문에서 break 시켜준다. ★ 추신 : A..
요즘 포스팅이 뜸했던 이유는, 막학기에 듣는 과목이 팀플과목이라 팀플에 집중하기도 했고, 요즘은 '깃허브'를 시작하게 되었다. (현업에 가면 깃허브를 많이 쓴다고해서 지금부터라도 손에 익히려고..ㅎ) 아무튼 알고리즘 공부했던 코드들을 깃허브에 commit과 push를 하고 있다. 오랜만에 새로운 문제를 풀면서 설명을 붙혀가며 포스팅하고 싶어, 이 블로그에다가 포스팅하려고 한다! (물론, 깃허브와 블로그 포스팅도 꾸준히 할 것이다!!) 'Binay Search' 즉, 이분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푸는 문제이다.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A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M = int(sys.stdin.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