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반복문이라함은 대표적으로 for, while, do while, 조건문은 if 등이 있는데, 동작원리는 다 알고 있지만, 사용법이 언어마다 조금씩은 다르기 때문에 한번 짚고 넘어가는 차원에서 포스팅한다. ★ for for(i = 3; i > 0; i--){ console.log(`for : ${i}`); } ★ while과 do while let i = 3; //while while(i > 0){ console.log(`while : ${i}`); i--; } //do while do { console.log(`do while : ${i}`); }while(i > 0); ★ if const a = 10; if ( a === 10 ) { console.log(`condition1 col..
분류 전체보기
★ 문자열 연산 console.log('my' + ' cat'); // 결과 : my cat console.log('1' + 2); // 2가 자동으로 문자열 2로 변환되어 계산됨 // 따라서 결과는 12 (타입은 string) ※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string literals 기능은 매우 편리하다. string literals를 사용하면 출력문안에 '나 "을 쓸때 탈출문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n을 쓰지않고 그냥 평소 줄바꿈 하듯이 엔터키로 줄바꿈해도 적용된다. console.log(`string literals : 1 + 2 = ${1 + 2}`); console.log(`string literals : '''''' 1 + 2 = ${1 + 2}`); ★ 정수 연산 정수연산은 이제 너무 익숙..
★ boolean 타입 : 이 타입은 어느 언어에서든 대부분 비슷해서 간단히 집고 넘어간다. boolean 타입은 당연히 True, False 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조금 짚고 넘어갈 부분은, False는 0, null, undefined, NaN, ''으로 간주되고, True는 그 이외의 값들로 간주된다. const trueValue = True; console.log(`value: ${trueValue}, type: ${typeof trueValue}`); const falseValue = 10 < 1; console.log(`value: ${falseValue}, type: ${typeof falseValue}`); 1번째 줄 코드를 출력하자면 변수에 직접 True값을 할당할 수 있다. 당연히 결과..
서론 : 저번 학기때 진행했던 ICT 학점연계 프로젝트 인턴십을 마치고 서울에서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연말이기도 하고, 인턴을 마치니 인턴십 사무국과 대학교에 제출해야할 서류들이 많아서 정신이 없었다..! 이제 좀 한숨 돌리고 이번주 월요일부터 다시 코딩 공부를 시작했다. 사실 이전 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인턴십을 진행하고 있을때도 독학 Javascript 공부를 시작했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회사가 너무 바빠져서 잠시 스킵..! (변명하지 말고 더 열심히 하자^^;) 이제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코딩 공부를 달려본다.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다시 한번 문자열에 대한 개념을 가다듬고 익혀야겠다. Javascript에서의 문자열은 이전 개념과 마찬가지로 따로 타입을 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파이썬을 제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