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구간합을 구하는 핵심 문제이다. 구간합이란 정수가 들어있는 배열 A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A배열의 i번재 수에서 j번째 수의 합을 구하는 공식이다. 구간합을 사용하지 않으면 배열 A를 모두 탐색하면서 해당 구간에서 합 연산을 해야하므로,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지만, 구간합을 사용한다면, 이미 만들어진 합배열 S를 이용하여 구간합을 구하므로, 시간복잡도는 O(1)로 감소한다.(즉 성능이 좋아진다는 얘기!) 이러한 이유로 코딩테스트에서 구간합을 구해야하는 로직이 있다면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합배열 S와 구간합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보자.public class PrefixSumEx{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스프링부트 3.x 버전의 신규 프로젝트 생성 후 JPA와 H2 데이터베이스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JUnit 테스트 중 해결되지 않는 에러가 발생했다.org.junit.jupiter.api.extension.ParameterResolutionException: Failed to resolve parameter ~ 비슷한 에러가 난 경우를 찾아봐도 내가 마주한 에러랑은 관계가 없는 정보들만 있었다! 도대체 에러가 뭘까!대부분 블로그에선 생성자 주입 관련해서 난 에러라고 하는데, 기존에 하던대로 잘 주입했는데, 안되는 것이었다 -,.-그러던 중! application.yml의 H2 database url에 MVCC=TRUE 옵션이 있었는데, 어딘가 모르게 뭔가 거슬리는 것이었던 것이었다. (쎄한 너낌..
1. 문제 설명DFS 재귀호출로 푸는 문제이다. 주어진 number의 요소로 +, - 하면서 depth를 추가하여 마지막 최종 깊이에서 target 값과 같은 가짓수를 리턴하는 문제이다.  2. 접근방법처음에 나는 입출력예를 보고 BFS (깊이우선탐색)를 활용하여 문제를 풀려고 했다. 입출력 예를 보면이 부분이 있는데, 아! 전형적인 미로탐색형 탐색문제구나! 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맨 윗줄 한줄을 BFS하며 조합의 합이 target값이 되는 조합을 찾으려했다. 하지만, 생각할수록 오류의 연속이었다. target 값을 만들기 위해 주어진 number의 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가... 여기서 막혀버렸다. (애초에 잘못 접근했으니 막히지..ㅋㅋ) 결국 30분이 훌쩍 지나 도움을 얻기로 했다..!  3. 해결방..
1. Spring이란?IoC(제어의 역전)와 DI(의존성 주입)를 통해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프레임워크에 맡겨 개발자의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예를들어 A, B, C 클래스가 있을때, D라는 클래스를 사용하고싶은 경우, 각각 A, B, C 클래스에 D 클래스를 인스턴스화시켜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Spring Framework에선 공통으로 사용하려는 D클래스를 컨테이너에 등록하고, 사용하고 싶을때 가져다 쓸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2. DI (Dependency Injection)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한 객체가 다른..
Developer KTU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