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 서론JPA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섹션별로 간단히 회고할 예정이다. 2. 엔티티란?JPA에서의 엔티티란 데이터배이스에서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이다.JPA 엔티티는 DB의 테이블 구조와 매핑되어 객체지향적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Entity@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Employee{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 ... */ } 1. @EntitySpring Framework에 엔티티 클래스임을 정의하는 어노테이션. 2. @GetterLombok에서 제공해 주는 getter 메서드 자동 ..
안녕하세요! 오늘은 Mybatis와 JPA의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1. 공통점JPA와 Mybatis는 둘 다 애플리케이션과 DB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프레임워크' 이다. 두 프레임워크는 각각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2. 개념1) JPA먼저 JPA (Java Persistence API)는 객체-관계형 매핑 프레임워크이다. 흔히 ORM이라고 불린다. JPA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자바 객체 간 매핑을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대신 JPA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DB를 사용하게 해주는 '명세'이므로, 개발자가 직접 구현체를 정의 해주어야한다. 대표적인 JPA 구현체는 Hibernate라는 ORM 프레임워크가 있다. JPA의 큰 특징이라 함은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
request 기본객체는 웹 브라우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 객체이다. 이 request 기본객체는 웹 브라우저의 '요청'과 관련있다. 요청 정보에 관한 객체들이 request 기본객체이다. (사실 이 부분이 자주 햇갈렸는데, 웹 브라우저의 '요청'이라함은 웹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요청'히면 웹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요청정보'를 받아 웹서버에 전달하는 개념이다.) request 기본 객체는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정보와 서버 정보를 구할 수 있는 메소드를 제공한다. 아래의 코드를 보며 메소드들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클라이언트 IP : = 요청정보 길이 : = 요청정보 인코딩 : = 요청정보 컨텐츠타입 : = 요청정보 프로토콜 : = 요청정보 전송방식 : = 요청정보 url : = 컨..
JSP에선 HTML과 자바 코드를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HTML영역, 자바 영역을 구분해야 가독성이 좋을텐데, 이를 수행하는 것이 선언부, 표현식 스크립트릿이다. 페이지 디렉티브는 JSP페이지, 자바의 사전 설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바에선 import가 올 수 있겠고, jsp에선 utf-8 같은 캐릭터 설정같은 것이 올 수 있겠다) 1. 디렉티브 앞서 설명했듯, 자바의 import나 JSP 페이지의 사전 설정을 수행하는 영역이다. 문법으로는 이다. 2. 선언부 선언부는 말 그대로 '무언갈 선언한다'는 뜻이다. 자바에서의 함수 정의, 변수 선언 등의 역할을 한다. 문법으로는 를 사용한다. 3. 스크립트릿 스크립트릿은 JSP페이지 내에서 자바코드를 기술할 수 있는 영역이다. 선언부,..
Developer KTU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