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query chapter 1 기본 선택자의 마지막 포스팅이다!! 힘내자! 11. prevAll(), nextAll() prevAll()은 선택요소의 이전 요소들을 모두 고르는 것이고, nextAll()은 선택요소의 다음 요소들을 모두 고르는 것이다. 아! 여기서 참고할 점은 형제 요소 기준으로 이전, 다음을 따지는 것이다!! 인접 관계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내용2 이 요소를 기준으로 이전 요소 모두, 다음 요소 모두를 선택한다! 12. siblings() siblings() 메소드는 선택된 자신의 요소를 제외한 모든 형제 요소를 선택한다. 인접 관계 선택자 내용1 내용2 내용3 내용4 13. prevUntil(), nextUntil() prevUntil()과 nextUntil()은 선택된..
지난 선택자 첫 번째 포스팅에 이어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6. 같은 클래스 이름을 가진 요소 구별하여 선택하기 말이 좀 긴데, 먼저 코드를 봅시다. 제이쿼리 선택자 직접 선택자 코드를 보면 "tit"이라는 같은 이름의 클래스를 가진 요소 과 요소가 있습니다. $(".tit").css(...) 이런식으로 사용한다면, 과 두 요소 모두 css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요소와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선 $("h1.tit").css(...) 이런식으로 명시해준다면 같은 클래스이름을 가진 요소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요소에만 css 스타일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parent() parent() 메소드는 선택한 요소의 직계부모 요소를 선택하는 메소드입니다. 간단히 예를 들자면, Hello ..
JQuery에서 중요한 개념인 선택자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 기본적인 선택자부터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JQUERY에서 선택자는 '$' 기호를 사용한다. 1. * '*'는 Oracle DB Query문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는 의미다. 제이쿼리 선택자 직접 선택자 body의 , , 태그에 대해 즉, 모든 요소에 대해 border style이 적용된다. (아 물론 body 요소도 적용된다!) 결과 2. # #은 css 선택자에서도 마찬가지로 (css 선택자와 닮은점이 좀 있는 것 같다) id값을 가지는 요소를 선택한다. 제이쿼리 선택자 직접 선택자 id값으로 "tit"을 가지는 요소가 선택되고 css 스타일이 적용된다. 결과는? id값으로 "tit"을 가지는..
JQuery(제이쿼리)는 HTML과 JS간의 코딩을 함수화 시켜주어,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JS의 오픈 라이브러리(출처 : 나무위키 (를 읽고 생각정리하며 씀)) JQuery에서는 선택자의 개념만 알아놓으면 정말 간편하게 쓸 수 있다. 사실 100% 다 알지 못해도 된다. 그때그때 필요한 함수들을 찾아서 적용시키면 된다. 그래도 한번 다 알아두고 배워두면 정말 편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뭔가 다 아는 것 처럼 써놨지만 나도 이번에 배워서 정리한 것임.) 다음 포스팅부터 선택자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