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 공부 : Back-end/Redis

[Redis] Redis 맛보기 - 1 (설치 및 기본설정)

Developer KTU 2024. 9. 9. 22:34
반응형

1. 개요

Redis를 설치해보고 테스트하기 위해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한다. 책 <<이것이 레디스다>> 에서 나온 방법은 2013년 버전이라 너무 오래되었으므로, 구글링을 통해 진행하였다.

 

2. 설치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releases 에 접속하여 윈도우 버전 Redis를 설치한다.

 

밑 줄 친 msi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next를 눌러준다.

 

동의 후 next

 

경로 설정 후 next

 

'Add an exception to the windows Firewall.' 체크 후 next를 눌러준다. 여기서 6379는 Redis의 기본포트이다.

 

next

 

install을 눌러 설치해준다.

 

finish를 눌러 설치를 완료해준다.

 

3. Redis 실행

win + R 후 'services.msc'를 입력하여 서비스 창을 실행한다. (작업관리자 > 서비스 탭 에서도 실행 가능하다.)

Redis 설치 후 자동으로 실행되니 서비스탭에서 사용하면 된다.

 

만약 수동으로 실행시키고 싶다면, Redis 설치 경로의 redis-server.exe 파일을 실행해주면 된다.

 

Redis가 실행중임을 확인했다면, 위 경로의 redis-cli.exe를 실행시킨다.

 

위와 같이 터미널이 실행됐다면, 잘 설치된 것이다.

 

간단 명령어로 서버접속을 테스트해보자.

 

위 명령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 PING : 서버가 응답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PING을 입력하면 PONG을 리턴한다.
  • ECHO : 입력한 문자열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 set [key] [value] : key-value 값을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 get [key] : key 값을 이용해 value값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더 많은 명령어는 https://redis.io/docs/latest/command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Redis 설정

4-1 Redis Port 변경

Redis 설치 경로의 'redis-windows-service-conf' 파일을 연다.

 

'port'라고 검색하면 해당 부분이 나오는데, 현재는 기본 포트인 '6379'로 설정되어 있다. Port를 설정하려면
이 부분을 변경해주면 된다.

 

4-2 비밀번호 변경

동일한 파일에서 'requirepass' 검색 한 후 해당 부분의 주석을 풀고, 'foobared' 부분을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면 된다.

비밀번호 설정 후, 나중에 Redis를 실행할때

> auth 비밀번호

를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Redis를 사용할 수 있다.

 

4-3 외부 접속 허용

동일한 파일에서 'bind'를 검색한 후

'bind' 부분을 주석해제 후 접속을 허용할 IP 주소를 추가해주면 된다.

 

4-4 Max Memory 설정

동일한 파일에서 'maxmemory'를 검색한 후

' maxmemory <bytes>' 부분을 주석해제 후 bytes 부분에 원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

 

4-5 log 설정

동일한 파일에서 'logfile'을 검색한 후

위 처럼 설정해주면, redis_log.txt 파일로 log 파일이 생성된다.

 

4-6 설정 적용

설정을 마쳤다면 저장 후 나가서 아까 열었던 서비스 창에서 'Redis'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Redis 서버가 재기동되어, 설정 내용이 적용된다.

 

 

 

다음 포스팅에선 Redis의 기본적인 자료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알아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