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공부

[파이썬] 백준 1152 - 단어의 개수

Developer KTU 2021. 3. 6. 09:37
반응형

문자열을 자르는 split() 사용법을 물어보는 문제이다.

<나의 코드>

import sys

S = sys.stdin.readline().split()

print(len(S))

< 시행착오 >

없음.

✭ 참고

split()은 white space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른다는 의미한다. 여기서 white spce란, 공백(space), 엔터(\n), 탭(Tab)을 의미한다. 즉, (split() => 공백, 엔터, 탭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른다)

✭ 추신

이 문제는 푸는데에 한 10초도 안 걸렸던 것 같다. 물론 이 문제를 무시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실제 알고리즘을 풀어보면서 split()은 입력받은 데이터를 잘라서 따로 저장하는 등 여러 케이스로 정말 많이 쓰였고, 정말 중요한 기능인 것을 잘 알고 있다. 이 문제를 계기로 다시금 split()의 중요함을 되새길 수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