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첫 개발! 파이썬 장고#1 장고 설치 및 가상환경 설정
본격적인 웹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나의 성장과정을 블로그에 기록한다.
웹개발자로 진로를 확실히 정하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해 전부터 조사를 조금 했는데, 프론트엔드 분야는 HTML,CSS,Javascript 등을 익혀놓으면 되는 것 같고, 백엔드는 다양한 웹서비스 프레임워크가 있는데, 자바의 Spring, 파이썬의 django, 루비의 Rudy on Rails 등등..이 있지만 Spring은 아직 초보 개발자인 필자가 도전하기엔 장벽이 조금 높은 것 같고, 루비는 한번도 다루어보지 못한 언어라 조금 다뤄본 파이썬으로 역량을 쌓으려고한다. (사실 편입하고 처음 배운 언어가 파이썬이었는데, 비동일계로 편입한 필자가 배울때 엄청 애를 먹었던 언어였다... 성적 지못미.. 지금은 많이 친해졌다..ㅎㅎ) 본격적으로 웹서비스 프레임워크 장고를 시작해보자!
첫번째로 파이썬을 설치해야 한다. 파이썬을 설치하는 방법은 구글에 매우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요즘은 한번의 설치로 파이썬과 환경변수까지 설정해주는 것 같다. 파이썬 설치는 쉬우니 생략하도록 하고 바로 장고 설치로 가보자.
1. 장고 공식사이트 접속하기 (https://www.djangoproject.com/)
스크롤을 조금 내리다보면 오른쪽에 'Installation guide' 항목이 있다. 클릭해서 접속하자.
이렇게 접속하면
장고 설치에 관한 가이드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영어 해석이 조금 난해하신 분들은 오른쪽에 언어설정도 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설치부터 설명이 나와있는데, 장고 설치가이드 페이지에서도 설명이 아주 잘 되어 있습니다. 링크를 클릭하여 접속하신 후 파이썬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설치 후 cmd에서 python이라고 쳐보시면 >>> 표시가 뜨게 된다면 성공적으로 파이썬이 설치된거에요!
2. 장고 설치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장고를 설치합니다. 그 전에! 다른 개발 프로젝트에서 개발환경이 충돌을 방지해주는 라이브러리를 하나 다운 받을겁니다. 바로
venv (예전이름은 virtualenv) 입니다. 예를 들어 팀에서 A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고, 개인적으로 B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A와 B는 각각 개발환경이 다 다를겁니다. A와 B의 개발환경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해주는 녀석이 바로 venv입니다. 먼저 본문의 '공식 릴리즈' 링크를 클릭합니다.
스크롤해서 조금 내리다보면 venv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제 cmd를 키고,
pip install virtualenv |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그 다음 원하는 경로에 가상의 환경 디렉토리를 만들어줍니다.
virtualenv 원하는 디렉토리 이름 |
입력해줍니다. 그럼 설정하신 경로에 원하는 디렉토리명으로 된 폴더 하나가 생성됩니다!
cd 명령어를 통해 방금 만든 디렉토리로 들어간 후, cd Script를 입력하여 Script 디렉토리로 들어갑니다.
그 다음 activate.bat 을 입력하여 activate 배치 파일을 실행해줍니다. 성공적으로 실행했다면 cmd 경로 앞에 (디렉토리명)이 뜰겁니다.
(디렉토리 명을 myenv로 설정한 저 같은 경우, (myenv) C:\Users\rlaxo\myenv\Scripts> 이렇게 뜹니다.)
이렇게 되면 성공적으로 가상환경 안으로 들어온 것 입니다. 이제 대망의 장고를 설치합니다.
pip install Django |
명령어를 입력하여 장고를 설치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된다면 python을 실행해서 django를 임포트 해봅니다. 별 에러가 안뜬다면 django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겁니다! 이렇게 해서 장고 설치와 가상환경 세팅을 다 끝났습니다!